카테고리 없음

조류인플루엔자가 제2의 코로나19? H5N2? 이런건 뭘까?

자아D 2024. 6. 18. 13:40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 D입니다.

WHO가 2003년부터 지금까지 조류인플루엔자에 감염된 사람은 900여 명에 달하며 이중 460명이 목숨을 잃었다고 밝혔습니다.

사망률이 52%나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코로나19의 사망률은 0.6%였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가 무엇인지 H1이니 H5니 N1이니 N2니 하는 것들이 무엇인지 살펴보겠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는 영어로 influenza라 쓰며 또는 유행성감기, 단순히 독감이라고도 하는 오 소믹소바이러스과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유발하는 감염성 질환을 뜻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

인플루엔자라는 이름은 라틴어로 '영향을 끼치다'라는 뜻의 '인플루엔자(Influenza)'에서 유래됐다고 합니다.

조류인플루엔자 증상

일반적인 증상은 오한, 발열, 인후염, 근육통, 두통, 기침, 무력감과 불쾌감입니다. 독감은 이런 비특이적 증상의 정도가 몸살감기보다 심한 정도일 뿐, 치명적인 때는 드물다고 합니다.

그렇지만, 전격성 폐렴이나 라이증후군 같은 치명적일 수 있는 합병증을 종종 일으키기도 합니다. 보통 감염자의 기침이나 재채기를 통해 공기 중으로 나오는, 바이러스가 함유된 연무질을 흡입함으로써 인플루엔자에 감염됩니다. 조류의 배설물, 침, 콧물, 대변과 혈액으로도 전염될 수 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잠복기는 1~3일 정도이며, 급성 호흡기 질환인 인플루엔자(influenza)를 유발합니다.

스페인 독감

1919년도 전 세계를 강타한 스페인 독감도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로 인한 전염병이었습니다. 1918년 봄의 1차 유행과 가을~겨울에 걸친 2차 유행이 있었다고 합니다. 이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형 H1N1바이러스입니다.

스페인 독감이라고 불리는 이유가 흥미롭습니다. 발생은 미국 캔자스에서 발병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이름이 스페인 독감이라고 불린 이 유느는 당시 1차 세계 대전 연합국들이 그렇게 불렀기 때문입니다. 당시 전시 상황이 알려지지 않도록 검열을 하였는데 스페인은 1차 세계대전의 참전국이 아니었기 때문에 연합국 측은 스페인 독감이라고 부르게 된 것입니다.

스페인 독감의 사망률은 3~5% 였습니다. 1차 세계 전쟁으로 인한 사망자는 1500만 명이었지만 스페인 독감으로 죽은 사람은 1700만~ 5000만 명의 사람이 목숨을 잃었습니다. 

인플루엔자 종류

인플루엔자는 A형부터 B형, C형이 존재하며 이 3종류 중 가장 위협적이고 빈도수가 높은 것이 A형입니다.

 H1이니 N2니 하는 것은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다아제(N)를 뜻하는데 비리온 외부에 위치한 거대한 당단백질이라고 합니다.

렉틴(lectin)인 헤마글루티닌(H)은 바이러스가 세포에 침입하는 것을 도와주며, 뉴라미니다제(N)는 성숙한 비리온에 결합하는 당(糖)을 조각내어 비리온들이 세포로부터 방출되는 일을 보조한다고 합니다.

항바이러스제는 이런 당단백질의 활동을 방해합니다. 또한, 이 당단백질들은 항원으로도 작용합니다. A형은 헤마글루티닌(H)과 뉴라미니다제(N)에 대한 항체의 반응 여부와 그 종류에 따라 아형이 구별됩니다. 그래서 HxNx(x는 숫자)식으로 표시합니다. 자연계에는 H혈청형이 18개 N혈청형이 11개가 존재하고 주로 H1/2/3과 N1/2가 인간에게 독감을 일으키는 아형이라고 합니다.

인플루엔자-입자
인풀루엔자 바이러스 모양

H2N1이니 하는 인플루엔저 이름은 위 그림에서 보이는 헤마글루티닌(그림 위, 왼쪽)과 뉴라미니다이제(그림 아래 오른쪽)의 모양을 표시하는 거라 보시면 됩니다.

제2의 코로나19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간 세포 수용체에 결합하는 경향성을 가지게 되려면 5개 아미노산의 핵심 수용체가 바뀌어야 한다는 사실을 과학자들이 2012년 실험에서 밝혀냈고, 코로나19 바이러스 역시 이러한 과정을 거쳐 대유행하게 됐습니다.

조류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간 수용체에 결합하는 능력을 갖추게 되면 그다음에는 인간 대 인간으로 전염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많은 전문가들이 인플루엔자가 코로나19처럼 유행하는 것은 '시간의 문제'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WHO 역시 '앞서 H5N1이 포유류 집단에 퍼지기 시작하면 확산 위험이 그만큼 증가하고 인간 대 인간 전염이 이뤄질 정도로 바이러스가 진화할 수 있다'라고 우려하고 있습니다.

전 세계에서도 인플루엔자에 감염된 환자가 보고 되고 있습니다.

인플루엔자-환자-발생
인플루엔자 환자 발생 소식

전문가들은 인플루엔자가 좀 더 진화를 하게 된다면 코로나19 보다 더욱 치명적인 인류의 전염병이 될 것이라는 경고를 하고 있습니다.

스페인 독감 때처럼 다시 한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인류를 덮치게 될지 인류는 어떻게 대항해야 할지 고민해 봐야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