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수미상관은 정확히 무슨 뜻일까? 들을 때마다 헷갈리네

자아D 2024. 3. 19. 12:43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 D입니다.

수미상관은 무슨 뜻일까요? 국어사전에 나온 수미상관의 뜻은 '머리와 꼬리, 처음과 끝이 서로 이어 통함.'이란 뜻입니다.

같은 말로는 수미상응 이란 말도 있습니다.

수미상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수미상관

문학에서 활용되는 기법 중의 하나로 주로 시의 형태에서 두드러지게 사용되는데, 첫 연과 마지막 연이 동일한 혹은 비슷한 형태를 띠는 형식을 말합니다. 작품의 주제를 강조하고 리듬을 형성하는 쉬운 방법들 중 하나이기에 자주 사용됩니다. 유사 표현으로는 수미쌍관(首尾雙關), 수미상응(首尾相應)이 있습니다.

문학작품 외에도 다른 예술 전반, 영화나 드라마, 애니메이션, 뮤직비디오 등의 매체에서도 시작과 끝을 같게 처리하는 기법을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이를 넓은 의미에서 수미상관 기법으로 보기도 합니다.

참고로 영어로 rhyming couplets, rhyming scheme, inclusio, epanalepsis이라 표현되며 한자로 머리수(首) 꼬리 미(尾) 서로 상(相) 관계할 관(關) 을씁니다.

진달래꽃-김소월-시
대한민국 사람이라면 누구나 알고있는 김소월 시인의 진달래꽃

수미상관 효과

문학에서 수미상관 기법을 사용해서 얻는 효과로는

첫째 같은 어구를 반복함으로써 뜻을 강조하고 둘째 처음과 끝에 같은 운율을 되풀이해 음악적 효과를 살리고 셋째 처음과 끝이 균형을 이루어 안정감을 주며 넷째 여운을 통해 감동을 마무리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수필에서는 앞머리에서 암시를 하고, 끝마무리를 할 때 앞의 암시와 관련이 있다는 것을 강조할 때 씁니다. 논설문에서는 글머리와 끝부분에 주제(결론)를 배치하는 구성법을 양괄식(兩括式)이라고 하는데, 이 역시 수미상관법과 같은 구성법이라 할 수 있습니다.

수미상관 시

수미상관 기법이 적용된 유명한 시 한 편과 윤동주의 시를 소개해드리겠습니다.

바로 김소월시인의 진달래꽃입니다.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寧邊)에 약산(藥山)
진달래꽃
아름 따다 가실 길에 뿌리오리다

가시는 걸음걸음
놓인 그 꽃을
사뿐히 지르밟고 가시옵소서

나 보기가 역겨워
가실 때에는
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그다음 신 윤동주시인의 새로운 길입니다.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어제도 가고 오늘도 갈
나의 길 새로운 길

민들레가 피고 까치가 날고
아가씨가 지나고 바람이 일고

나의 길은 언제나 새로운 길
오늘도…… 내일도……

내를 건너서 숲으로
고개를 넘어서 마을로

이밖에 많은 시들이 있습니다.

글을 마치며

수미상관 기법은 외국에서도 쓰는 기법입니다. 시뿐만이 아닌 드라마나 영화 음악에서도 쓰이는 기법입니다.

드라마는 '슬기로운 감방생활' '오징어게임'등에서 수미상관 기법을 사용하였고 영화에서는 '패왕별희' '혹성탈출' 등의 많은 영화에서 사용하였습니다.

오늘은 이렇게 수미상관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그냥 처음과 끝이 비슷한 장면이나 글자가 있다면 수미상관이라 하면 되겠습니다.

대표적인 작품으로는 김소월시인의 '진달래꽃' 시가 있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