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동충하초란 무엇인가 효능과 섭취 방법 영양 성분에 대해서 알아보자

자아D 2023. 7. 17. 12:52

안녕하세요 이것저것 써보고 있는 자아 D입니다.

오늘은 동충하초에 대해서 써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충하초

하초동충이라고도 한다. 대부분 곤충에 기생하여 숙주가 되는 곤충의 시체에 자실체를 냅니다.

자실체는 머리·줄기의 2 부분으로 이루어지고 머리 부분은 공 모양, 양 끝이 뾰족한 원기둥 모양, 주걱 모양 등으로 불룩해지며, 그 표면 또는 표피 아래에 여러 개의 자낭각을 이룹니다.

숙주가 되는 곤충은 나비목(붉은 동충하초:Cordyceps militaris)·매미목(매미동충하초:C. sobolifera)·벌목(벌동충하초:C. sphecocephala), 그 밖에 딱정벌레목·메뚜기목 외에 거미에게도 기생하는 것이 있습니다.

이들 균은 숙주를 죽이고 곤봉 모양 또는 줄 모양 등의 자실체를 냅니다. 따라서 겨울에는 벌레이던 것이 여름에는 버섯으로 변한다는 뜻에서 이런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동충하초-사진
곤충에 기생하는 동충하초

한마디로 곤충에 기생하는 버섯을 동충하초라고 합니다.

동충하초 특징

동충하초는 겨울(冬겨울 동)에는 곤충(蟲벌레충)이고 여름(夏여름 하)엔 약초(草풀 초)가 되는 신비로운 식물이라고 알려져 있지만, 사실은 곤충의 내장을 양분 삼아 겨울을 나고 여름에 자실체가 성장하는 균류의 일종으로, 쉽게 말하면 기생 버섯입니다. 겨울을 나고 나면 곤충의 내장은 사라지고 버섯과 같은 성분으로 가득 차게 된다고 합니다.

곤충의 종에 따라 동충하초의 종류도 각기 다릅니다. 대개는 해당 곤충의 신경을 조종하여 움직이게 할 수 있습니다. 이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소설 개미에서도 나왔습니다. 천연에서도 나지만, 한국에서는 보통 누에나 밀웜에 균을 심어 재배한다. 현미재배도 등장했다고 합니다.

동충하초 섭취방법

동충하초는 고가의 약용 버섯으로 보통 약으로 처방된다고 합니다. 달여 먹거나 삼계탕 등 보양식 요리에 첨가하여 몸을 보하는 요리에 이용합니다.
동충하초는 삼계탕과 잘 어울리는데 비타민 B12가 풍부한 동충하초는 단백질이 풍부한 닭에 첨가하여 삼계탕을 끓이면 보양식으로 으뜸이 된다고 합니다
또 한 동충하초는 열량이 거의 없어 비만인 사람에게 좋다고 합니다.

동충하초 효능

동충하초에 대한 효능은 말이 많습니다. 또한 국내에서 재배에 성공한 균주인 눈꽃동충하초는 아직도 효능에 대해서 있다 없다 논란이 많은 버섯입니다. 눈꽃동충하초는 실험상 약리적 효능은 거의 없고 실제 한약재로 동의보감에 알려진 동충하초는 다른 균주들의 동충하초 라고 합니다.

일반적으로 동충하초의 효능이라고 하면 1. 항암효과, 2. 면역력 증진, 3. 심혈관질환 예방, 4. 피로해소, 5. 빈혈예방, 6. 이뇨작, 7. 기관지건강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동충하초 성분표

동충하초의 영양 성분은

니아신 16.90mg 나트륨 37.00mg 단백질 14.30g 당질 63.20g 비타민 B1 0.36mg 비타민 B2 1.25mg
비타민 B6 1.35mg 비타민 C 286.00mg 비타민 E 1.47mg 아연 2.69mg 인 231.00mg 지질 2.70g
철분 4.60mg 칼륨 6,776.00 mg 칼슘 17.00mg 콜레스테롤 0.00mg 회분 4.30g

입니다.

글을 마치며

동충하초라 하면 귀한 버섯으로 누에에서 자라난 버섯을 말하는 것으로 알고 있었는데요. 곤충에 기생하는 버섯을 보고 동충하초라고 하는지는 처음 알았습니다. 그리고 동충하초가 다 몸에 좋은 줄 알았는데 우리나라에서 재배에 성공한 눈꽃동충하초에 대한 효능은 아직 검증이 되지 않았다는 것도 신기합니다.

긴 글 읽어 주셔서 감사합니다.